요즘에는 주소가 도로명으로 바뀌어 있지만 저의 경우에는 여전히 구 주소인 지번이 더 익숙하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번 예를 들어서 5-1(5의 1 읽을 때에는 이라 읽어야 함) 주소로도 알고 있지만 지번이라고 하는 것은 토지의 등록단위를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를 한 것으로 이 것을 통해서 토지를 특정 시키고, 토지에 개별성을 부여하게 되며 해당 토지에 대한 소재파악을 쉽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주소표기의 기준이 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인 지번부여방법 및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지적확정측량을 실시한 지역의 지번부여 방법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지번부여방법 및 지적확정측량을 실시한 지역의 경우


▷ 일반적 지번부여 방법

토지가 있다면 필지별로 지번을 부여하는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 위에서 부터 시작해서 Z자 형식으로 순번대로 번호를 부여해 나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북서기번법 이라고 합니다.


신규로 지번을 부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인접토지의 본번에 부번을 부여를 하는 형식으로 해서 새로이 지번을 부여하면 되는 것이구요.


일단은 기본적인 사항까지만 설명을 하고 분할이나 합병의 경우는 설명을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것을 이해하고 나면 추후 공부를 해도 늦지 않으니까요.


▷ 지적확정측량을 실시한 지역의 지번부여방법

쉽게 설명을 해 보자면 어떤 도시지역을 완전히 갈아 엎어 버리고 새롭게 땅을 조성을 한 경우 지번을 부여하는 방법이라 할 수가 있는데요. 그림을 통해서 설명을 해야 쉽게 이해가 될 수가 있을 겁니다.


가정) 도시개발이전의 특정지역의 지번


(1) 지적확정측량을 실시한 이후 지번이 부족하지 않은 경우 지번부여방법

아래와 같이 이전 지번의 본번만을 가져와서 부여를 하면 됩니다.


(2) 지적확정측량을 실시한 이후 지번이 부족한 경우 지번부여방법

아래와 같이 두가지 방식을 취할 수가 있습니다.


ⓐ 블록단위로 본번 부여 후 부번을 부여하는 방법


ⓑ 이전지번의 최종 본번 다음의 번호를 지번으로 부여하는 방법

이전 특정지역의 지번이 5-2로 끝났으므로 그 다음 본번인 6번부터 부여를 해 나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상 지번부여방법에 대해서 기본적인 것과 이해하기 어려운 지적확정측량을 실시한 지역의 지번부여 방법에 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위해서 설명한 내용이 충분히 이해가 되시면 나중에 분할이나 합병에 의한 방법을 추가적으로 공부를 하게 되더라도 쉽게 이해를 하실 수가 있을 겁니다.


Posted by 앱플지기